VITZRO INFOHUB
구독하기
비츠로 인포허브 (제 9호) - 첨단전략산업 글로벌 기술동향과 특허 ('25.2.)
비츠로그룹의 주간 뉴스레터가 발행되었습니다. 💌
2025. 4. 7.
비츠로 인포허브 (제 9호) - 첨단전략산업 글로벌 기술동향과 특허 ('25.2.)
비츠로그룹의 주간 뉴스레터가 발행되었습니다. 💌
잘 안보이시나요? 웹에서 보기 🖥️
구독하기
|
이전레터 다시보기
No.09
|
2025.04.07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비츠로그룹 정보기획팀 입니다.
오늘은 특허청과 한국특허전략개발원에서 발표한 첨단전략산업 글로벌 기술동향과 특허 관련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첨단전략산업 글로벌 정책 동향
✅ 美 해군, UNIST와 국방과학 기술 협력 추진 (연합뉴스, '25. 2. 5.)
미 해군연구청(ONRG) 관계자, 울산과학기술원 방문을 통해 국방과학 기술 공동 프로젝트 등 협력 강화 추진
▶양 기관은 상호 방위력 강화 위한 연구 · 기술 혁신 기반 구축 합의
▶미 해군연구청 브랜든 코체너 소장, 미 대사관 매튜 게츠 중령, 한미합동군사업무단 서창원 매니저, UNIST 박종래 총장 등 참석
✅ 정부, 첨단산업 성장 지원을 위한 50조 규모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 (기재부, '25. 3. 5.)
정부, 바이오 · AI · 배터리 등 첨단산업 및 기술 지원을 위해 34조원 규모 첨단전략산업기금 발표
▶기금은 산업은행을 통해 지원될 예정으로, 국가 첨단산업 및 기술 R&D 및 인재 양성 등 정책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첨단전략산업기금의 구체적 내용은 3월 중 국회 제출 계획
✅ 정부, EU와 '호라이즌 유럽' 등 과학기술 협력 강화 (연합뉴스, '25. 3. 7.)
유상임 과기부 장관, 지난 1월 '호라이즌 유럽' 가입을 계기로 EU와의 연구 혁신 분야 국제협력 강화 논의
▶예카테리나 자하리에바 EU 연구혁신 집행위원과의 논의를 통해 과학기술공동위 등 공동 협력 본격화 추진 공감대
▶또한, 한국의 유럽연구이사회(ERC) 참여 활성화도 함께 논의
✅ EU, 특허 투명성 개선 규제, AI 책임 규제 등 3개 법안 폐기 (ZDNET Korea, '25. 2. 13.)
EU 집행위, 의회 및 회원국 승인 어려움에 따라 표준 특허 · AI · 온라인 프라이버시 규제 법안 초안 전격 폐기
▶표준특허 규제안, 고비용 장기 소송 종식을 위한 것이 주 목적
▶AI 책임 규제안, 소비자가 AI 업체 등에 피해 보상 청구 내용
▶온라인 프라이버시 규제안, 화상 메신저 어플 사생활 보호 내용
✅ 中 - 獨, 전략적 파트너쉽 차원의 관계 강화 추진 (로이터, '25. 2. 16.)
왕이 외교부장, 독일 슐츠 총리와 회담을 통해 중국-독일 간 전방위적 협력 강화를 위한 주요 현안 논의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EU의 반덤핑 관세 부과에 대한 독일의 반대 입장 표명 등 계기로 긴밀한 협력 강화
▶뮌헨 안보회의 간 독일 외 프랑스·스페인 등 EU 주요국과 회담
✅ 美 대통령, 미국 우선주의 투자 정책 각서 서명 (연합뉴스, '25. 2. 22.)
트럼프 행정부, 전략 산업에 대한 동맹국의 대미 투자 장려와 중국과의 상호 투자를 제한하는 정책 방침 발표
▶동맹국의 미국 투자 시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의 안보 심사를 간소·신속화하는 패스트트랙 절차 추진이 골자
▶절차는 동맹의 중국·러시아·북한 등 적대국과의 관계도 고려
✅ 정부, 한·일 벤처·스타트업 투자서밋 2025 개최 (중기부, '25. 2. 21.)
중기부, 국내 스타트업의 일본 진출 지원을 위한 한·일 투자자 참여 290억 원 규모 글로벌 펀드 신규 조성
▶올해 초 발표한 글로벌 펀드 연 1조 원 이상 신속 조성 계획의 일환으로 신한벤처투자(韓), 글로벌 브레인(日)이 공동 운용
▶발표회에는 AI, IT, 바이오, 코스메틱 분야 한·일 스타트업 참여
✅ 美 애플, 향후 4년간 미국에 약 714조 투자 발표 (SBS Biz, '25. 2. 25.)
애플의 이번 5천억 달러(약 714조 원) 투자는 역대 최대 규모로, 인공지능(AI) 및 첨단 제조 분야에 집중 예정
▶애플 멕시코 공장 등 일부 생산 시선을 미국 내로 이전하기 위한 텍사스 휴스턴 신규 생산 시설 건립, 첨단 제조 기금의 확대 등 포함
▶트럼프 대통령, 애플의 대규모 미국 내 투자 발표에 감사 표명
|첨단전략산업 기술 분야별 동향
📌이차전지
✅ SK넥실리스, 전고체 배터리용 집전체 개발에 성공 (연합뉴스, '25. 2. 4.)
SKC 자회사 SK넥실리스는 기존 구리 동박 집전체 부식 문제를 해결한 전고체 배터리용
집전체*
개발에 성공하고, '26년까지 차세대 리튬 메탈 배터리용 제품 개발도 추진
▶니켈(Ni)박, 니켈-도금박, 니켈-합금박 등 전고체 배터리에 최적화된 3가지 집전체를 개발, 기존 동박 대비 전기전도도 및 내구성 향상으로 성능 및 안전성 극대화 기대
▶SK넥실리스는 집전체 개발 기술력을 바탕으로 유럽·미국 등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고객사 확보를 통해 전고체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고 확대할 계획
✅ 포항공대-서울대, 수계 리튬이온배터리 한계 넘는 기술 개발 (전자신문, '25. 2. 12.)
수계 리튬이온배터리* 내구성 향상과 고전압 구동을 동시 구현하는 기술 개발 성공
* 물을 전해질로 활용한 높은 안정성 및 원재료 가격이 기존 리튬이온배터리 1/10 수준의 저비용이 장점
▶아세트아미드 기반 전해질을 활용해 물 분자가 리튬이온 주변에 머물도록 유도하고, 물분자 간 결합을 약화시켜 불필요한 반응을 줄여 배터리 전압 범위 확대(1.23V → 3.1V)
▶수소 발생 반응을 유도하여 리튬 플루오라이드 기반 고체 전해질 계면을 형성, 전자의 터널링 효과를 감소시켜 물 분해를 억제하여 장기적인 배터리 성능을 향상
✅ LG에너지솔루션, 전고체 배터리 충전속도 10배 높이는 기술 개발 (전자신문, '25. 2. 12.)
LG에너지솔루션이 전고체전지 연구 분야 세계적 석학 셜리 멍 시카고대 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해 전고체전지의 충전 속도와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개발에 성공
▶전고체전지에 얇은 실리콘 층을 추가해 리튬 금속의 성장 방향을 조절하고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하여, 충전 속도를 10배 이상 높이고 배터리 안전성을 크게 강화
▶배터리 무게 저감 및 부피 감소에도 에너지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혁신 기술로 평가
📍 (이차전지)
집전체
관련 기술 특허동향 분석
📌차세대 원자력
✅ 테레스트리얼에너지, 美 대학 내 IMSR 발전소 건설 계획 발표(글로브뉴스, '25. 2. 4.)
캐나다 통합 용융염원자로* 개발 기업 테레스트리얼 에너지(Terrestrtial Energy)가 미국 텍사스 A&M 大 협업을 통해 캠퍼스에 IMSR 플랜트 건설 추진 계획을 발표
* 통합용융염원자로(Integral Molten Salt Reactor) : 용융 불화물 또는 염화물에 녹인 핵연료를 사용하는 원자로로, 증기발생기 등 1차 냉각재계통을 2차와 통합하여 교체가능한 원자로압력용기 내 설치한 것
▶테레스트리얼에너지는 4세대 원자로인 IMSR을 주력으로 개발하는 원전 전문회사로 텍사스 A&M 대학의 원자력 연구 역량과의 결합을 통해 차세대 원자력 도약 추진
▶이 건설 프로젝트를 통해 첨단 원자로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시험장 역할 수행 및 다양한 SMR* 기술을 활용해 1GWe(전기출력) 이상의 발전 용량 확보가 목표
* 소형모듈형원자로(Small Modular Reactor) : 기존 원자로 대비 규모 및 출력을 축소하고 모듈식 설계를 반영한 것으로 전기출력 300MWe 이하의 소형 원자로를 통칭
✅ HD한국조선해양, 선박에 SMR 기술 적용한 설계 모델 공개 (연합뉴스, '25. 2. 13.)
HD한국조선해양, 미 휴스턴 해양 원자력 서밋에서 SMR 기술 적용하고 실제 기자재와 안전설계 개념을 반영한 원자력 추진 컨테이너선 설계 모델 전격 공개
▶HD한국조선해양은 이미 미국선급협회(ABS)로부터 SMR 기술을 적용한 15,000 TEU급 컨테이너선 설계모델에 대한 기본인증(AIP)을 획득하여 사업 기반 확보
▶해당 모델은 스테인레스강과 경수를 사용한 이중탱크 방식 해양 방사선 차폐 시스템 적용을 통한 안전성 확보 및 초임계이산화탄소(SCO₂) 추진 시스템으로 열효율도 개선
✅ 美 홀텍-현대건설, 미국 내 SMR 공동건설 프로젝트 발표 (조선일보, '25. 2. 26.)
미 홀텍과 현대건설은 미국 미시건주 팰리세이즈(Palisades) 원자력발전소에서 '미션2030' 행사를 통해 연말 '팰리세이즈 SMR-300 1호기' 프로젝트 착공 계획 발표
▶양사는 올 상반기 내 설계를 완료하고, 연말 착공을 통해 2030년 상업 운전을 개시한다는 계획으로 국내 건설사가 해외에 SMR을 건설하는 첫 사례 전망
📍 (차세대 원자력)
용융염 원자로(MSR)
기술 특허동향 분석
📌우주항공 · 해양
✅ 이노스페이스社, 국제 항공우주·방산 품질경영 인증 획득 (연합뉴스, '25. 2. 6.)
국내 우주발사체 민간 기업 이노스페이스가 영국왕립표준협회(BSI)로부터 항공우주 및 방산 분야 품질경영 인증 'AS9100*'을 획득
* 항공우주 분야에서 요구되는 제품의 고신뢰성과 품질관리 등을 반영한 국제 표준으로, 국제 항공 우주 및 방위 산업 프로젝트 참여 시 기관 및 고객사가 요구하는 필수 조건
▶'AS9100'은 세계 우주기관과 위성 사업자들이 발사체 기업 신뢰도를 평가하는 주요 척도이며, 국내 민간 우주발사체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인증 받은 것
▶이노스페이스는 지난 2023년 3월 국내 최초 민간 우주발사체 한빛-TLV 발사를 성공
✅ 美·日·유럽, 달에 GPS용 인공위성 시스템 추진 (연합뉴스, '25. 2. 20.)
미·일·유럽은 2030년 대 추진 예정인 달 유인기지 건설 등에 따른 달 표면 위치정보 파악을 위한
위성 항법 시스템
(GPS) '루나넷(Lunar Net)'의 공동 개발 계획을 발표
▶미국 유인 달 탐사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 계획과 맞물려 추진하는 것으로, 2028년까지 위성 4기 체제로 전반적 기술 실증 후 2030년 대 중반까지 8기 체제로 확대
▶미국 항공우주국(NASA)는 2027년까지 인공위성 2기 이상,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2028년까지 1기, 유럽우주청(ESA)는 1기 이상을 달 상공에 보낼 계획
✅ 韓, 국제항로표지기구 이사국에 6연속 진출 성공 (정책브리핑, '25. 2. 20.)
싱가포르 개최 '국제항로표지기구(IALA)* 1차 총회' 이사회 선거에서 우리나라는 2006년 처음 이사국 지위를 획득한 이후 3년 마다 이루어진 재선거에서 6연속 선출
* 1957년 설립된 항로표지 국제표준 제·개정 및 이행 촉진을 위해 설립된 정부 간 기구로, 38개 회원국을 보유하고 3년마다 25개 이사국을 선출(우리나라는 1962.9. 가입)
▶그 간 우리나라는 스마트 항로표지 국제표준 도입, 해양 고정밀 위치정보 개발 등 국제 항로표지 분야 발전에 기여했으며, 향후 미래 항로표지 기술 개발을 선도할 계획
📍 (우주항공·해양)
위성항법
기술 특허동향 분석
📌수소
✅ 한국수력원자력, 노르웨이 넬과 핑크 수소 생산 돌입 (서울경제, '25. 2. 5.)
한수원은 노르웨이 최대 수소 전문기업 넬(NEL)과 친환경 에너지 핑크수소*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300조 원 수준의 글로벌 핑크수소 시장 공략 추진을 발표
* 원자력 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기를 이용해 순수한 물 또는 해수(담수)를 전기분해하여 만든 수소
▶핑크수소 생산을 위해서는 원자력 발전소가 필수적이고 초기 큰 규모의 자본 투자가 요구되지만, 생산 시 탄소 배출이 없고 원전 생산 전기를 이용해 원가가 저렴한 장점
▶한수원은 자사의 원전 기술에 넬의 전기분해 기술을 활용해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계획
✅ 호주, 그린수소 생산에 대한 세금 감면 법안 제정 (로이터, '25. 2. 12.)
호주는 2050년 넷제로(Net Zero) 달성과 중국 의존도 감축을 위한 에너지 전환 계획에 따라 글로벌 경쟁력 강화 차원의 그린수소* 생산 촉진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
*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어지는 수소로 생산과정에서 탄소를 배출하지 않음
▶호주는 2028년부터 2040년까지 생산되는 그린수소 1kg 당 2호주달러(약 1,830원)의 세제 혜택을 제공하여 원자재에 대한 경쟁력 강화 및 글로벌 공급망 다각화 추진
▶호주는 작년 5월 이미 2040년까지 그린수소 생산에 67억 호주달러(약 6조 1천억 원)를 투입하는 대규모 중장기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음
✅ 韓·美·日, 수소 첨단기술 분야 공동 연구 추진 (글로벌이코노믹, '25. 2. 22.)
한·미·일 '25년부터 수소 발전 등 경제 안보 핵심 분야에 대한 공동연구 추진 발표, 첨단기술 유출을 방지하면서 안전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구축
▶이번 협력은 '22년 일본이 제정한 경제안보촉진법에 따른 첫 3국 공동연구로, 중국과 러시아 등으로의 핵심 기술 유출을 방지하면서 연구개발을 진전시키는 것이 목표
▶수소 정제·저장의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위한 연구를 추진 예정이며, 특히
수소 운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수소 흡수 합금 연구와 수소 생산용 촉매 개발에 초점 예정
📍 (수소)
수소 운송
핵심 소재·부품 기술 특허동향 분석
📌인공지능
✅
美 대학, 초저비용으로 AI 추론 모델 개발 및 훈련 성공 (테크크런치, '25. 2. 5.)
美 스탠포드대·워싱턴대 연구진, 약50달러(7만원 수준) 비용 투자를 통해 수학·코딩 능력에서 오픈AI 등 최첨단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갖는
AI 추론 모델
개발·훈련 성공
▶연구진은 오픈소스 기본 모델을 기반으로 지식 증류* 기법을 사용해 AI 모델의 추론 능력을 추출 및 학습 진행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모델 제작(모델명: s1)
* Knowledge Distillation : 사전 학습된 대규모(teacher) 모델의 학습 사항을 그보다 작은(student) 모델로 이전하는 머신 러닝 기법으로 오픈 소스 모델로 고급 기능을 구현하는 효과적 수단
▶s1 모델 훈련에는 엔비디아 GPU 'H100' 16장을 사용하고, 30분 미만의 시간 소요
✅ 프랑스,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건설에 163조 원 투자 발표 (파이낸셜타임스, '25. 2. 9.)
프랑스 정부는 AI 정상회의에서 미국 '스타게이트' 데이터센터에 맞서 인공지능 분야에 약 1,090억 유로
(약 163조 원)
의 민간 투자를 유치할 기업 명단을 발표
▶UAE 투자회사 'MGX' 500억 유로, 캐나다 '브룩필드' 200억 유로 포함 1,09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으로 이를 통해 구축할 데이터센터는 미스트랄 등 자국 AI 기업을 위해 제공
▶마크롱 대통령은 이번 대규모 투자를 통해 프랑스가 AI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자국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여 미국과 중국 기술에만 의존해선 안 된다는 점을 강조
✅ 정부, AI G3 도약 실현 위한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 발표 (정책브리핑, '25. 2. 20.)
범부처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AI 인프라 확충, AI 스타트업 집중 지원, AI 핵심 인재 양성을 포함하는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 발표
▶과기부, 최대 2조원 투입으로 '26년 상반기까지 최첨단 GPU 1만 8천장을 구매하고 '27년까지 GPU 3만장을 추가 확보할 예정
(현재 고성능 GPU 국내 보유량은 약 2천개)
▶또한, 인공지능 국가대표 프로젝트로 'World Best LLM'(가칭)을 추진하여 혁신적인 AI 알고리즘 개발을 지원하고, 글로벌 수준의 개방형 HW·SW 기술 생태계도 조성
📍 (인공지능) AI 학습·추론 고효율화 기술에 대한 특허동향 분석
📌첨단로봇·제조
✅ 뉴로메카社, 자사 개발 협동로봇에 AI 모방학습 등 기능 탑재 (로봇신문, '25. 2. 5.)
국내 로봇 제조사인 뉴로메카는 자사 협동로봇 모델 인디(Indy)에 자체 개발한 AI 기반 모방학습(Imitation Learning) 및 충돌회피(Collision Avoidance) 기능 탑재 발표
▶모방학습 기능은 사용자가 직접 로봇을 조작하며 동작을 학습시켜 별도 프로그래밍 없이 사람 행동의 직관적 모방을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에서의 활용 가능
▶충돌회피 기능은 카메라나 라이다 센서로 작업 대상물과 회피할 장애물을 구별하여 작업 중 회피가 필요한 상황을 구별하고 실시간으로 안전 경로를 생성하여 작업 가능
✅ 美 애플, 인간과 상호작용 하는 가정용 탁상램프 로봇 공개 (조선일보, '25. 2. 10.)
애플이 개인 비서 로봇으로 개발 중인 가정용 탁상램프 로봇의 영상을 공개
▶로봇에게 작업을 수행하는 데 집중한 기능적 움직임과 함께 감정이나 상태를 전달하는 표현적 움직임도 프로그래밍화하여
인간과의 상호작용
을 위한 새로운 프레임워크 구축
▶애플은 아이폰 매출 부진과 자율주행 전기차 '애플카' 개발 프로젝트 중단 이후 차세대 주요 프로젝트로 로봇을 선택하여 다양한 형태의 로봇 실험을 진행 중
✅ 노르웨이 1X 테크놀로지,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 (로봇신문, '25. 2. 24.)
노르웨이 휴머노이드 로봇 업체인 1X 테크놀로지는 가정용 환경에 적합하도록 사람처럼 걷고 말하는 데 초점을 맞춘 로봇 '네오 감마(NEO Gamma)' 공개
▶사람과의 접촉 시 부상 방지를 위한 부드러운 나일론 소재를 도입하고, 온보드 AI 시스템* 탑재로 문 열기, 애완동물을 피해서 이동하는 등 주변 환경을 정교하게 인식 가능
* 사용자에 맞춰 학습하고 자체 업데이트를 하여 비서처럼 모든 작업과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맞춤형 AI
▶자체 개발한 대형언어모델(LLM)로 자연스러운 대화와 바디 랭기지를 지원하며, 음성 인터페이스와 통합되어 직관적인 상호작용으로 가정용 서비스 제공 가능
📍 (첨단로봇·제조) 로봇-인간 상호작용 기술 특허동향 분석
📌양자
✅ 산업부, 양자컴퓨터 등 21개 품목 전략물자로 추가 지정 (조선일보, '25. 2. 25.)
산업부 '전략물자 수출입고시' 개정안 시행(2.28.)을 통해 양자컴퓨터 등 첨단 물품과 기술 21개*를 수출 시 정부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전략물자로 추가 지정
* 양자컴퓨터, 인공지능 반도체, 극저온 냉동기, EUV 마스크·레티클, 3D프린팅 장비, 고온코팅 기술 등
▶신규 지정되는 대상은 이미 국제수출통제체제*에 상정되어 대다수 회원국이 통제에 찬성한 물품으로 현재 많은 국가들이 유사한 통제를 시행 중
* 공산권 붕괴로 해체된 대공산권 수출통제체제의 후속체제로 한·미·일 등 42개국 포함
✅ 美 사이퀀텀, 반도체 제조 기술 광전자 방식의 양자 칩 발표 (AI타임스, '25. 2. 27.)
미 사이퀀텀(PsiQuantum), 광자(빛의 최소단위) 기반 양자 칩 '오메가(Omega)' 발표를 통해 반도체 제조 공정을 적용한 양자 칩 대량 생산 가능성을 입증
▶오메가 칩에는 널리 사용되는 반도체 제조 기술인 광전자(Photonics) 방식을 채택하여 단일 칩에서
광자 기반 큐비트
의 생성, 조작 네트워킹 및 검출을 수행하는 기술을 적용
▶광섬유를 활용한 칩 간 네트워크를 통해 초전도 기반 양자컴퓨터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며, 대규모 양자컴퓨터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신뢰성 높은 연산 환경을 제공
* 초전도 기반 양자컴퓨터는 큐비트를 늘리는 과정에서 신호 손실과 연결 문제가 발생해 확장성이 제한적
✅ SKT, 美 아이온큐와 전략적 제휴 통한 양자 분야 협력 (한국경제, '25. 2. 27.)
SKT는 미 아이온큐와의 협력을 통해 스위스 양자암호업체 아이디퀀티크(IDQ)* 지분 전량을 아이온큐(IONQ)에 넘기면서 아이온큐 지분(약 3.1%, 3,300억 원)을 확보
* SKTsms '18년 650억원 투자로 IDQ를 인수해 1대 주주 위치에 있었으나 IDQ의 QKD 관련 보안 취약성 논란 등으로 지분율을 낮추는 상황이었음('22년 69.3% → '23년 56.9%
→ '24년 약 50%)
▶SKT는 자사 AI 기술 및 데이터센터, 에지 AI, GPU 클라우드 서비스 등 보유기술과 아이온큐의 양자컴퓨팅 기술을 결합하여 최적화된 AI 기술력을 확보할 계획
📍 (양자) 광자 큐비트 기술 특허동향 분석
◆
📢 2025 첨단제조로봇 실증사업 및 로보테크쇼 안내
🔗2025년 첨단제조로봇 실증사업 지원과제 모집 공고, ~25/04/10
🔗2025년 로보테크쇼 - 25.06.11(수), 3일간, 코엑스
📩이번 뉴스레터 주제와 내용은 어떠셨나요?
도움이 됐어요
조금 아쉬워요
📬
지난 뉴스레터 보기
이번 뉴스레터 어떠셨나요?
피드백을 남겨주세요
↩︎
비츠로그룹 뉴스레터를 함께 받아보고 싶은
임직원분이 계시다면 구독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구독하기
Copyright © VITZRO Tech. All Rights Reserved.
공유하기
VITZRO INFOHUB
를
구독하고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비츠로그룹 주간 뉴스레터 INFOHUB 입니다.
구독하기
이전 뉴스레터
비츠로 인포허브 (제 8호) - 2025년 중소기업 수출지원 사업 주요 내용 안내
2025. 3. 31.
다음 뉴스레터
비츠로 인포허브 (제 10호) - 2025년 원자력 기술과 결합한 AI와 향후 AI 기술 활용 시사점
2025. 4. 14.
VITZRO INFOHUB
비츠로그룹 주간 뉴스레터 INFOHUB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