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츠로그룹의 주간 뉴스레터가 발행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회장실 정보기획팀 입니다.
오늘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25년 2월 21일 발표된 제11차 전력 수급기본계획 주요 내용 및 25년 1월부터 시행된 전기산업 발전 기본법 관련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
|
|
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24~2038) |
|
|
"전력망 확충 및 재생에너지·원자력 투자 증가로 중전기기 시장 확대 예상! HVDC(초고압 직류송전), ESS, 스마트그리드 관련 기술 개발 필요" |
|
|
1️⃣무탄소 에너지 확대 및 전력믹스 개선
- 원자력(신규 대형원전 2기, SMR 1기)과 재생에너지(연평균 7GW 보급) 확대
- 2038년까지 무탄소(원전, 재생, 청정수소·암모니아) 발전 비중 70% 목표
- 석탄발전소의 단계적 폐지 및 LNG·수소 발전 전환
2️⃣미래 전력 수요 대응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등 첨단산업, AI 확산에 따른 데이터센터 확대, 산업·수송·수소 등 전기화 영향
- 2038년 전력 목표수요 129.3GW로 설정 (기준수요 145.6GW → 수요관리 16.3GW 감축)
3️⃣신규 발전설비 및 전력망 확충
- 2038년까지 추가 10.3GW 발전설비 필요
- 신규 열병합발전(LNG) 도입, ESS(에너지저장장치) 및 양수발전 확대
- 한전 주관 제 11차 장기 송·변전 설비계획 2025년 상반기 수립 예정
4️⃣무탄소 입찰시장 개설 및 전력시장 개편
- 수소, 재생에너지(태양광·풍력), ESS 기반의 무탄소 입찰시장 신설
- 첨단산업(AI·반도체) 전력 공급 안정화를 위한 송전망 구축 강화
- 전력시장 다원화 및 친환경 발전원 간 경쟁 체제 도입
5️⃣탄소중립 목표 및 온실가스 감축
- 2030년 무탄소 발전 비중 53% 달성 목표
-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2023년 8.4% → 2030년 18.8% → 2038년 29.2%
- 정부의 RE100(재생에너지 100%) 정책 및 탄소중립 전략 강화
📢결론
▶ 전력공급 안정성 확보+탄소중립 정책 강화+신재생 및 원전 중심 전환
▶ 에너지 산업 및 전력시장 구조 변화 가속화
|
|
|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요약 (2024~2038) |
|
|
🔹 개요
- 수립근거: 중장기 전력수요 전망 및 이에 따른 전력설비 확충을 위해 「전기사업법」 제25조 및 시행령 제15조에 따라 2년 주기로 수립
* '02년 "제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시작으로, 금번까지 총 11차례 계획 수립
- 계획기간: 15년 장기계획 (11차 계획기간 : '24~'38년)
- 확정일: 2025년 2월 21일
- 주관: 산업통상자원부
- 목표: 무탄소 에너지 전환, 원전 및 재생에너지 강화
📊 주요 내용
1️⃣ 전력수요 전망
- 2038년 목표수요: 129.3GW
- 기준수요: 145.6GW, 수요관리 감축: 16.3GW
|
|
|
- 추가수요 반영: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등 첨단산업 수요
→ '38년 반도체 전력수요 15.4GW = 모형수요(추세) 14.0GW + 추가수요(증분) 1.4GW
- AI 확산에 따른 데이터센터 확대
→ 10차 대비 데이터센터 전력수요 전망 증가 (10차 ‘36년 1.4GW → 11차 ’38년 4.4GW) → '38년 데이터센터 전력수요 6.2GW = 모형수요(추세) 1.8GW + 추가수요(증분) 4.4GW
- 산업 부문 전기화, 전기차 보급 확대 및 국내 수소생산 등 반영
→ 10차 대비 전기화 수요 전망 증가 (10차 ‘36년 8.1GW → 11차 ’38년 11.0GW) → ‘38년(GW) : 산업 4.7(수소환원제철 2.5+전기로 0.2+히트펌프 등 2.0) + 전기차 3.5 + 수소 2.8
|
|
|
📌 제10차(22~36년) 전기본 전력수요 전망 대비 차이 |
|
|
- 2030년 기준수요 감소(-1.7GW), 2036년 기준수요 증가(+2.6GW)
→ 단기적으로는 전력 소비가 줄지만, 장기적으로는 증가 예상.
- 수요관리 목표가 2030년(-3.8GW), 2036년(-4.4GW) 모두 감소
→ 에너지 절약, 효율 개선 목표가 전보다 축소됨. → 제11차 전기본 수요관리 목표는 한전 에너지효율향상 의무화제도(EERS) 등을 반영하여 설정됨. 사후측정과 검증 가능한 수단 중심으로 목표 설정하여 제10차 계획 대비 절감 목표 현실화.
- 목표수요는 2030년(+2.1GW), 2036년(+6.9GW) 증가
|
|
|
2️⃣ 전력공급 계획
- 신규 발전설비: 10.3GW 필요
- 재생에너지 목표: 2038년 121.9GW 보급
- 실효용량(전력 피크 기여 기준): 16.3GW
- 확보 계획
-
☢️원전: 신규 대형원전 2기,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 건설
→ 10차 전기본 동해안 지역 원전 신규 건설(신한울 3·4호기) 및 계속 운전(신한울 1·2호기) → 11차 신한울#2(‘24.4 상업운전), 새울 #3·4, 신한울 #3·4 (총 7.0GW)
-
🏭열병합 발전: LNG 기반 발전 투입
-
⛅무탄소전원: 수소, 재생에너지, SMR 간 경쟁입찰 추진
- 🌑석탄발전: 노후 석탄발전(28기) LNG 전환 유지, 추가 12기 무탄소전원 전환 추진
|
|
|
3️⃣ 무탄소 발전 확대
- 2030년 무탄소 발전 비중: 53%
- 2038년 무탄소 발전 비중: 70%
- 구성: 원전 + 재생에너지 + 청정수소·암모니아
📌 2038년 발전비중
- 원전: 35.2%
- 석탄: 10.1% (감축)
- LNG: 10.6%
- 재생에너지: 29.2%
- 신e·청정수소·암모니아: 15%
|
|
|
📌 제10차(22~36년) 전기본 발전량 및 발전비중 전망 대비 차이 |
|
|
* 제10차 전기본의 경우, 재생e와 신e를 구분하지 않았지만, 제11차 전기본에서는 구분함.
** 11차 전기본 무탄소발전의 경우 원전+재생+청정수소·암모니아 발전량 기준 산출한 수치이며, 제10차 전기본의 경우 원전+재생e+신e+청정수소암모니아 기준 산출된 수치로 수치 해석에 유의 필요.
|
|
|
4️⃣ 백업설비 및 전력계통
- 에너지 저장장치(ESS): 2038년까지 23GW 확보 (BESS, 양수발전)
- 무탄소 입찰시장 설계: 수소·ESS·재생에너지 기반 신규 시장 개설
- 전력망 확충: 반도체 클러스터 등 첨단산업 전력공급 최적화
|
|
|
- 2025년 상반기: 제11차 장기 송·변전 설비계획 (한전) 수립
- 2025년 하반기: 제16차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 발표
- 신규 원전 건설 부지 선정, LNG 용량시장 본입찰, 신규 ESS 사업자 선정 추진
📢결론
- 전력수급 안정성 확보 + 탄소중립 정책 강화 + 산업 전력공급 최적화
|
|
|
1️⃣ 원자력 발전 확대 → 원전 관련 중전기기 수요 증가
- 신규 원전 2기(APR1400),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 건설
- 원자로 계측제어장치, 터빈발전기, 변압기, 고전압 차단기 수요 증가
- 원전 부품·설비 제작 및 유지보수 시장 활성화
2️⃣ 재생에너지 확대 → ESS 및 스마트그리드 시장 성장
- 2038년까지 재생에너지 121.9GW 보급 목표
- 태양광·풍력 발전 확대로 전력망 안정성을 위한 ESS(에너지저장장치) 수요 증가
- 장거리 송전 필요성 증가(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 지역이 분산됨)
- 스마트그리드 및 전력변환장치(PCS, 인버터 등) 시장 확대
3️⃣ 석탄발전 축소 및 무탄소 전환 → 친환경 발전설비 교체
- 노후 석탄발전 28기 LNG 전환 유지 + 추가 12기 무탄소전원(수소·암모니아) 전환 추진
- 전력 변환 및 분배 장비(고압 차단기, 개폐기 등) 업그레이드 필요
- 수소 연료전지 및 암모니아 혼소 발전 관련 기술 개발 필요
4️⃣ 전력망 인프라 확충 → 송·변전 설비 투자 증가
- 첨단산업(반도체 클러스터, 데이터센터) 증가에 따른 전력망 확충
- 초고압 변압기, 개폐기, 차단기 등 송·변전 기자재 수요 증가
- 신재생에너지 계통 연계를 위한 전력 안정화 기술 필요
→ HVDC 변환소 및 전압제어장치(VSC·HVDC) 도입 필요
5️⃣ 무탄소 입찰시장 개설 → 친환경 중전기기 시장 개방
- 수소 발전, 재생에너지, ESS 연계형 전원 입찰 시장 신설
- 기업들의 친환경 전력기기(수소연료전지, BESS 등) 개발 필요
- 정부 지원 정책 활용 시 신기술 도입 및 해외 시장 확대 가능
📢 결론
🚀 전력망 확충 + 재생에너지·원자력 투자 증가 = 중전기기 시장 확대 ⚡ 초고압 장비, ESS, 스마트그리드 관련 기술 개발 필수 🌍 탄소중립 정책 대응 및 친환경 제품 개발 필요
|
|
|
🔗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관련 자료 링크
|
|
|
원자력신문 (25.02.22)
- 무탄소에너지 전환 위한 에너지 정책 정상화 '초점 맞춰'
- 원전 생태계 활력 제고 · 재생에너지 정책 추진력 강화
에너지신문 (25.02.21)
- 태양광 추가 상향... 2038년 121.9GW 재생E보급
- APR1400 대형원전 2기·SMR 상용화실증 1기 반영
인더스트리뉴스 (25.02.24)
- 원전 생태계 활력 제고 및 재생에너지 정책 추진력 강화
서울와이어(25.02.21)
- 무탄소 에너지 비중 70%로 확대
- 2038년 목표 수요 129.3GW
|
|
|
[시행 2025. 1. 10.] [법률 제19956호, 2024. 1. 9., 제정]
|
|
|
비츠로그룹 뉴스레터를 함께 받아보고 싶은
임직원분이 계시다면 구독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
|
|
Copyright © VITZRO Tech. All Rights Reserved.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