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츠로그룹의 주간 뉴스레터가 발행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회장실 정보기획팀 입니다.
오늘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코트라 등이 공동주관하는 「인터배터리 2025」의 주요 내용 및 업계 동향 관련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
|
|
차세대 배터리 혁신의 장,
인터배터리 2025 |
|
|
"원통형·LFP 배터리 혁신과 글로벌 협력 강화로 미래 배터리 시장 주도!" |
|
|
- 역대 최대 규모 개최
2013년부터 시작되어 매년 3월초에 개최되어 올해 13회째를 맞이하는 인터배터리는 올해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참가 기업 및 전시 면적 20% 이상 확대)되었으며, 해외 참가 기업수도 역대 최다(172개사)를 기록
- 글로벌 배터리 전시회로 도약
주요 글로벌 배터리 기업이 참여(BYD, EVE, LG화학, 삼성SDI, SK온, 포스코퓨처엠 등)하였으며, 특히 중국 기업 대거 참가(73개 사)하여 리튬 인산철(LFP) 배터리 기술 공개
- 배터리 산업의 캐즘 극복 전략
원통형 배터리, LFP 배터리,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 등 신기술이 공개되며, ESS 및 중장비 배터리 시장 확대를 통한 신수요 창출 기대
- 공급망 및 배터리 재활용 강화
포스코퓨처엠, 고려아연, 에코프로 등이 공급망 안정화 및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을 선보이며, 글로벌 배터리 광물 세미나도 함께 개최
- 비즈니스 협력 및 기술 혁신
JR에너지솔루션과 이스라엘 스토어닷의 합작법인 설립이 공식 발표되며, 인터배터리 어워즈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유뱃 등의 혁신 기술이 수상작으로 선정
|
|
|
⬜ (행사명) 인터배터리
⬜ (기간/장소) ‘25.3.5(수) ~ 7(금) 10:00~18:00 / 코엑스 전관
⬜ (주최/주관)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코엑스, 코트라
⬜ (주요 내용) 이차전지 및 배터리 산업 동향, 기업 기술 전시, 투자 및 파트너십 기회 모색
⬜ (규모) 참가업체 688개사 2,330부스 / 참관객 8만명(예상) |
|
|
2025 인터배터리의 슬로건은 ‘Breaking Through, Charging Ahead’로, 캐즘에 따른정체를 타파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고자 하는 도전과 극복 의지의 의미를 담았음. |
|
|
✅ 주요KEYWORD : 원통형배터리, LFP, 공급망협력 |
|
|
📍 배터리 캐즘 극복 전략
1.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
- LG에너지솔루션: ‘46 시리즈 원통형 배터리’ 공개
- 삼성SDI: ‘50A급 초고출력 원통형 배터리’ 공개
- 엘앤에프: LFP 양극재 파일럿 공장 운영 및 양산 계획 발표
- 럼플리어: 차세대 LFP 배터리 개발 현황 공개
2. 신시장 및 신수요 창출
- LS일렉트릭: ‘올인원 ESS 플랫폼’ 발표
- 유뱃: 600Wh/kg의 초고에너지밀도 리튬메탈전지 개발
- 인지이솔루션: 중장비 적용 가능한 다양한 배터리 제품 선보임
3. 기술 초격차
- SK온: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 공개
- 민테크: ‘신속진단기’ 개발 (검사 시간 10분으로 단축)
- 모나: AI 기반 고속 배터리 진단 기술(배터리 상태와 불량 감지) 발표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고밀도 실리콘 음극재 및 고성능 음극 집전체
4. 공급망 및 배터리 리사이클링 강화
- 포스코퓨처엠: 니켈, 흑연, 리사이클링을 통한 밸류체인 완성
- 고려아연: 하이니켈 전구체 제조 기술 공개
- 에코프로: 폐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클로즈드 루프 에코 시스템’ 발표
- 글로벌 배터리 광물 세미나 개최 (칠레,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 참여)
5. 비즈니스 활성화 및 주요 협력 발표
- JR에너지솔루션과 이스라엘 ‘스토어닷’ 합작법인 설립 공식화
- 스토어닷 CEO, 한국을 초고속 충전 배터리 생산 허브로 육성 계획 발표
- KOTRA 글로벌 수출상담회, 기업 설명회, 1:1 비즈니스 상담 진행
|
|
|
▶️ LS "고출력, 초고속 충방전이 가능한 UC 울트라캐퍼시터 소개" |
|
|
인터배터리 2025 전시장 내 LS 그룹 부스 모습
|
|
|
LS Materials - ULTRACAPACITOR |
|
|
📌 UC 울트라캐퍼시터
- 에너지밀도 : 작음
- 출력밀도 : 매우 큼
- 구성물질
양극 - 활성탄(탄소) 음극 - 양극과 동일 전해액 - 암모늄계 유기용매
- 작동온도 : -40℃ ~ +65℃
- 작동원리 : 전하의 물리적 이동
- 사이클수명 : 100만 사이클 이상
- 열폭주 위험 : 없음
|
|
|
AI Data Center 및 신재생 에너지 전력망 안정화 제품으로 소개된
UC(ULTRACAPACITOR) 솔루션 |
|
|
Data-Driven 이차전지 통합 제조 Platform C-MOS(Co-Manufacturing Operating System) |
|
|
▶️ 일진전기 "고에너지밀도의 실리콘 합금 음극재 소개"
|
|
|
인터배터리 2025 전시장 내 일진전기 부스 모습
|
|
|
📌 고에너지밀도의 실리콘 합금 음극재 제품 적용 분야
-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재
- 흑연 음극재와 적절한 비율로 블렌딩하여 사용
- 흑연 단독 사용 전지에 비해 에너지밀도, 급속 충전 및 출력 특성 개선 효과
- 흑연의 용량밀도(~360mAh/g) 한계를 극복, 550mAh/g까지 상승 가능
|
|
|
일진 실리콘 합금은 ①제조 원가가 낮고 ②1750mAh/g의 고용량 ③수명 특성이 매우 우수하여 최대 550mAh/g급 극판용량까지 커버 가능
|
|
|
일진 실리콘 합금 음극재는 원료 금속의 용융, 급랭 응고, 분쇄의 단순하고 효율적인 공정을 통해 생산되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타사의 나노 공정, 진공 증착 공정 등에 비해 원가 경쟁력이 우수
|
|
|
▶️ 삼성SDI · LG에너지솔루션 · SK온
|
|
|
1️⃣ 삼성SDI
- 차세대 46mm 원통형 배터리 공개 (4680, 4695, 46100, 46120)
- 전고체 배터리 개발 현황 소개 (2027년 상용화 목표)
- ESS (Samsung Battery Box 1.5) 신제품 출시
2️⃣ LG에너지솔루션
- 유럽(벤츠) 및 미국(테슬라)과 원통형 배터리 수주
- 태양광 전기차 스타트업 '앱테라 모터스'와 협업 제품 전시
3️⃣ SK온
- 4680 원통형 배터리 개발 중
- 무선 BMS 및 액침 냉각 기술 선보일 예정
|
|
|
-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가 차세대 46mm 원통형 배터리 개발에 박차
- 4680 배터리 : 기존 21700 배터리 대비 에너지 밀도 및 출력 향상, 전기차 주행거리 증가 기대
- 전고체 배터리 연구 지속 → 2027년 상용화 목표 (삼성SDI)
🔮 전기차 업체(테슬라, 벤츠 등)의 원통형 배터리 수요 증가로 시장 성장 예상 → 고출력·고밀도 배터리 기술 확보가 핵심 경쟁력
|
|
|
- BYD, EVE 등 글로벌 기업의 LFP 배터리 경쟁 심화
- 국내 배터리 기업(엘앤에프 등) LFP 배터리 연구 개발 및 2026년 양산 목표
- LFP 배터리 장점: 가격 경쟁력, 안정성 (불연성), 수명 증가
-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보급형 전기차(EV) 시장에서 LFP 수요 급증
🔮 LFP 배터리는 저비용·고안전성으로 에너지 저장 및 보급형 전기차 시장에서 급성장 → 고성능 전기차 시장에서는 여전히 하이니켈(NCM) 배터리가 강세
|
|
|
인터배터리 2025 전시장 내 엘앤에프 부스 모습 |
|
|
- L&F는 세계 최초 2024년 니켈 함량 95% 이상의 하이니켈 NCM(A) 양극재를 양산함
- 국내 및 북미 최초 LFP 양극재 양산을 앞두고 있음
|
|
|
- 중국발 배터리 소재 독점 및 저가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 배터리 협력 강화
- 미국 배터리 포럼에서 8개 주 정부 인사 참석
→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대응 및 배터리 공급망 논의
- 국내 기업, 미국·유럽 내 배터리 생산 거점 확장 (포스코퓨처엠, LG화학 등)
🔮 배터리 소재(양극재, 음극재) 공급망 다변화 필수 → 유럽·미국 배터리 시장 확대 및 합작법인(JV) 설립 증가 예상 |
|
|
📢 시사점 "배터리 산업, 기술 혁신과 글로벌 협력이 핵심"
🔋 전기차 시장 둔화 속에서도 배터리 기술 경쟁 지속 🔋 원통형 배터리·LFP 배터리 시장 확대 → 기업 간 기술 격차 발생 🔋 소재 공급망 다변화 및 글로벌 협력 필수 🔋 전고체 배터리·하이니켈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연구 지속 |
|
|
하기 링크 클릭 시 보고서 상세 페이지로 연결 됩니다. |
|
|
비츠로그룹 뉴스레터를 함께 받아보고 싶은
임직원분이 계시다면 구독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
|
|
Copyright © VITZRO Tech. All Rights Reserved.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