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츠로그룹의 주간 뉴스레터가 발행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오늘은 KEMRI 한전경영연구원에서 발표한 2025년 전력산업 경영환경 전망 관련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
|
|
1. 해외 정책 환경
가. 국가별 정치 지형 변화
|
|
|
나. 환경규제 확산 ▶주요국들 탄소중립 이행 속도를 높이고 자국에 유리한 환경규제 발표, 이러한 규제들이 탄소중립의 명분 아래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작용
|
|
|
1. 전력 수급
가. 전력수요 전망
-
2025년 전력수요: 549.4TWh, 전년 대비 1.9% (10.2TWh ↑) 증가
-
데이터센터, AI 투자, 전기차 보급 등의 요인으로 지속 증가
-
산업: 반도체 중심 수요 증가, 철강·석유화학은 둔화
-
건물: AI 데이터센터 확산으로 상업용 수요 확대
-
가정: 냉방수요, 가전기기 증가로 소폭 증가
-
수송: 전기차 증가세 둔화 → 수요 영향은 제한적
나. 중장기 요인
-
데이터센터: 2030년 19.4TWh로 증가 (2021년 7.9TWh)
-
전기화: 히트펌프, 전기차, 전기로 등 중장기적 전력수요 증가 견인
-
첨단산업 특화단지: 614조 원 규모 투자, 15GW 전력 수요 전망
|
|
|
다. 공급측면
-
2025년 설비용량: 158.1GW
-
하계 최대전력수요: 100.7GW → 예비율 9.9%로 안정적
-
춘추기 수급 불균형 우려: 태양광 공급과잉 대응 필요 (DR, ESS, 제어장치 확대 등)
|
|
|
2. 구매
가. 시장제도 개편 이슈
-
지역별 차등 SMP, 망 이용요금 개편, 제한적 가격입찰제 도입 등 다양한 제도 개편 논의 중
-
재생에너지 예비력 시장 참여, BESS(Battery ESS) 중앙계약시장 개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등 포함 -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와 산업단지 일대에 부산형 분산에너지 특화지구를 추진 중으로, 다양한 분산에너지와 인근 수요지(산업단지 등)를 연계한 사업모델을 구상, (울산) '24년 전국 최초로 분산에너지 지원센터를 개소하고, 마포·온산국가산업단지를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여 특화지역 지정에 적극 노력
|
|
|
나. 수송 계획
- (11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확정된 후 송변전설비 확충 기준에 근거하여 11차 장기 송변전설비 계획이 수립될 예정
- (1차 장기 배전계획) 분산e 활성화 특별법 시행('24년 6월)에 따라 1차 장기 배전계획(최초의 배전망 법정 계획)이 수립될 예정
|
|
|
3. 해외산업
가. 원자력
- 전 세계 가동 원전의 총 설비용량은 약 374GW(415기,’24.11월기준)이며, 원전 발전량은 ’25년에 역대 최고치* 달성 전망
* 세계원전발전량[TWh]: ’23년 2,765, ’24년(전망) 2,809(+1.6%), ’25년(전망) 2,907(+3.5%) (IEA)
-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63기(약63GW)의 원전이 건설 중이며, 87기(약85GW)의 원전 건설이 계획되어 있고, 약 340기의 건설이 논의되고 있음
- ’50년까지 전 세계 원전 용량을 3배로 확대하는 「Net-Zero Nuclear Initiative」에 참여를 선언한 국가가 기존 25개국(한국,미국,프랑스,UAE등)에서 31개국*으로 늘어남
* 신규 참여국:케냐, 튀르키예, 엘살바도르, 카자흐스탄, 코소보, 나이지리아
- (신시장 개척) 원전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사우디, UAE, 베트남, 필리핀 등은 원전 도입과 더불어 재생에너지, 수소, 전력 인프라 확대에도 관심이 높음
나. 재생에너지
- 최대시장이었던 중국, 미국, 유럽의 신규설비 증가 둔화로 ’20~23년 연평균 10% 이상 증가하던 재생에너지 설비 증가율이 5% 수준으로 감소
- (공급망 위험 지속) 미국뿐 아니라 인도, 인도네시아, EU 등 다양한 국가에서 재생에너지 기자재에 대한 자국 내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원자재 수출 제한, LCR* 관련 정책을 강화 중
* Local Content Requirements, 국산부품 사용 요건
다. 청정수소
- 청정수소 생산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25년 생산량이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30년까지 연평균 70%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일 전망
-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 설비 규모는 전년(4.4GW) 대비 1.5배 증가한 6.7GW로 전망되는 한편, 화석연료 기반의 청정수소(블루수소) 생산 움직임도 활발할 것으로 예상
|
|
|
비츠로그룹 뉴스레터를 함께 받아보고 싶은
임직원분이 계시다면 구독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
|
|
Copyright © VITZRO Tech. All Rights Reserved. |
|
|
|
|